[5강] 탄소배출권 제도, 중소기업도 참여하고 수익낼 수 있을까?
탄소배출권 거래제는 대기업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나요? 하지만 이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중소기업도 참여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. 탄소배출권을 잘 활용하면 비용 절감뿐 아니라 새로운 수익 창출까지 가능하죠. 이번 강의에서는 탄소배출권 제도의 기본 개념,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,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수익을 낼 수 있는지 살펴봅니다.
1. 탄소배출권 제도란?
탄소배출권 제도는 기업이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양을 할당하고, 남거나 모자라는 배출량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. 유럽(EU ETS), 한국(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, K-ETS) 등 세계 각국에서 시행 중이며, 한국은 일정 규모(연간 125,000톤 CO₂eq 이상)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의무화했습니다. 중소기업은 직접 의무대상에 포함되지는 않아도, **자발적 감축 프로그램**에 참여해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.
2. 중소기업 참여 방법
방법 | 설명 |
---|---|
자발적 감축 프로그램 | 에너지 효율 개선, 재생에너지 전환 등 감축 실적 등록 후 인증서(VER) 발급 |
배출권 거래소 활용 | 한국거래소(KRX)에서 탄소배출권(CCA) 매도·매수 가능 |
공급망 ESG 참여 | 대기업의 공급망 관리 항목 충족 → ESG 평가 점수 향상 |
중소기업이 직접 시장에 참여하기 어렵다면, 에너지 진단기관과 컨설팅을 연계해 감축 실적을 확보하고 인증받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.
3. 배출권으로 수익을 내는 방법
- LED 조명, 고효율 설비 도입으로 감축량 확보
- 인증된 감축실적(VER) 발급 후 거래소에 판매
- 감축량 활용 → 기업 ESG 보고서에 반영 → 공급망 신뢰 확보
이 과정을 통해 단순히 배출량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수익원까지 확보할 수 있습니다.
4. 중소기업 탄소배출권 활용 성공사례
경남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D사는 공장 전기요금 절감을 위해 LED 교체와 고효율 공조설비를 도입했습니다. 그 결과 연간 약 400톤의 탄소를 감축했고, 이를 탄소배출권(VER)으로 인증받아 판매해 연간 2,000만 원 이상의 부수 수익을 얻었습니다. 이 실적은 ESG 보고서에 반영되어 공급망 ESG 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획득하게 되었죠. 단순 절감이 아니라 ‘인증 → 판매 → ESG 활용’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 대표 사례입니다.
5. 배출권 참여 시 유의사항
유의 포인트 | 설명 |
---|---|
인증 절차 | 감축 실적을 공식 인증기관에 검증받아야 거래 가능 |
시장 변동성 | 배출권 가격은 수급 상황에 따라 크게 변동 |
전문가 활용 | 탄소 회계, 인증, 거래소 절차는 전문가 도움 필요 |
특히 인증 과정은 복잡하므로 컨설팅사나 인증기관과 협업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방법입니다.
6. ESG 전략으로서의 탄소배출권
- 단순 비용절감 → 수익창출로 확장
- ESG 보고서에 감축 실적 반영 → 대외 신뢰성 강화
- 공급망 ESG 평가 점수 상승 → 거래 유지·확대
배출권은 단순 규제가 아니라 ESG 경영의 새로운 기회입니다. 이를 제대로 활용하면 기업 경쟁력에 직접적인 도움이 됩니다.
중소기업도 탄소배출권으로 돈을 벌 수 있나요?
네. 에너지 절감이나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감축한 실적을 인증받으면 거래소에서 판매할 수 있습니다.
배출권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나요?
수요와 공급,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변동됩니다. 가격은 한국거래소(KRX)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배출권을 확보하려면 무엇을 먼저 해야 하나요?
감축활동(설비 개선, 재생에너지 전환 등) → 감축량 인증(VER) → 거래소 등록 순서로 진행합니다.
배출권은 꼭 전문가 도움을 받아야 하나요?
감축량 인증과 거래 절차가 복잡해 전문가 지원이 유리합니다. 특히 회계 처리와 ESG 보고서 연계까지 고려하면 더 효율적입니다.
중소기업이 당장 참여하지 않아도 되나요?
의무 대상이 아니더라도 자발적 참여가 늘고 있습니다. 특히 공급망 ESG 평가에 대응하려면 빠른 준비가 유리합니다.
배출권 제도가 없어지면 어떡하죠?
국제사회 탄소중립 합의로 제도는 더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.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.
탄소배출권 제도는 중소기업에게도 새로운 기회입니다. 단순히 ‘규제 대응’이 아니라, 비용 절감과 수익 창출, 그리고 ESG 경쟁력 확보라는 세 가지 효과를 제공합니다. 지금 시작한다면 거래처 신뢰 확보와 ESG 보고서 작성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배출권 참여는 기업의 미래 가치를 높이는 전략적 선택입니다.
※ 본 콘텐츠는 환경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지침(2024), 한국거래소 탄소시장 안내서(2023),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감축인증 가이드(2024)를 참고해 작성되었습니다.
'기후변화 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강] 에너지 사용 절감 전략, 전기요금 절약 이상의 의미 (0) | 2025.07.22 |
---|---|
[2강] 탄소배출량 측정, 중소기업도 해야 하는 이유는 명확하다. (1) | 2025.07.20 |
[1강] ESG경영이란 무엇인가? 중소기업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? (1) | 2025.07.18 |
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하는 방법 (0) | 2025.06.16 |
대한민국 온실가스 배출량, 얼마나 될까? 🤔 (0) | 2025.02.19 |